W.S.N의 신뢰성 전송기법(3)-ESRT
W.S.N2016. 2. 12. 18:55
ESRT(Event-to-Sink Reliable Transport)는 기본적으로 센서 네트워크에서늬 모든 데이터가 센서노드에서 싱크노드로 집중된다는 상황을 가정한다.
싱크노드의 관심사는 어떤 노드가 어떤 데이터를 보낸다는 것보다는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했는가 하는 것이 된다.
ESRT의 신뢰성은 싱크노드에서 이벤트가 발생햇다고 확신할 수 있는 센서 노드들로부터의 알림의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ESRT에서는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리포트 전송률을 실제 싱크에서 기대하고 있는 신뢰성에 따라서 조절하도록 한다.(아래 표와 그래프)
또한 센서가 보고하는 빈도수의 조절에 의해 희망했던 신뢰성을 보장하고자 End-to-end 전송을 한다.(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신뢰성 제공)
ESRT의 문제점은 같은 값을 사용하여 모든 센서들의 보고 횟수를 조절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값을 사용할 때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W.S.N'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N의 혼잡제어 기법(2)-STCP (0) | 2016.02.15 |
---|---|
W.S.N의 혼잡제어 기법(1)-CODA (0) | 2016.02.15 |
W.S.N의 신뢰성 전송기법(2)-RMST (0) | 2016.02.12 |
W.S.N의 신뢰성 전송기법(1)-PSFQ (0) | 2016.02.12 |
DTC, TSS 프로토콜 (0) | 2016.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