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C, TSS 프로토콜
DTC와 TSS는 센서네트워크의 전송 프로토콜이 응용분야의 특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기존의 인터넷과 센서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특별한 중간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터넷에 사용되는 TCP와 호환이 가능한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TC와 TSS는 기존의 TCP 세그먼트를 그대로 사용하며 링크 에러율이 높은 무선 환경에서 TCP End-to-End 재전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간노드에서 손실회복 및 재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DTC프로토콜
DTC는 각 센서노드가 최소 한 개의 메모리 공간이 있다고 가정하고 특정 공식에 따라 전송되는 패킷을 저장한다.
SACK(Selective-ACK)를 사용하여 패킷손실을 회복하고, 타이머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재전송을 방지한다.
-DTC 포로토콜 공식
1.Cache가 비어있으면 segment 저장.
2.Cache가 차있다면, 특정 확률로 저장.
3.Link Lever Timer를 이용하여 패킷손실이 우려되면 Cache Lock.
4.저장된 Segment보다 큰 값의 ACK가 오면 Cache를 비움.
-TSS 프로토콜
센서노드의 메모리 공간이 DTC에 비해 여유가 있다고 가정하고 패킷을 순서대로 저장하고 전송한다.
다음 노드가 패킷을 전송하는것을 Overhearing 하여 전송된 패킷이 잘 전달되는지 예측하고 저장된 패킷을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Small history list를 사용하여 이전에 ACK를 보낸 패킷이 재전송되어 오면 삭제한다.
-DTC, TSS 장단점
장점
End-to-end간의 패킷 재전송을 방지하여 생성되는 패킷 수를 줄인다.
단점
트리 토폴로지를 가진 센서네트워크에서는 각 센서 노드는 자신을 경유하는 모든 노드의 패킷을 저장해야 하므로 메모리 부족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W.S.N'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N의 신뢰성 전송기법(3)-ESRT (0) | 2016.02.12 |
---|---|
W.S.N의 신뢰성 전송기법(2)-RMST (0) | 2016.02.12 |
W.S.N의 신뢰성 전송기법(1)-PSFQ (0) | 2016.02.12 |
W.S.N의 TCP방식 문제점 (0) | 2016.02.12 |
W.S.N(Wireless Sensor Network)와 Internet 연결 (0) | 2016.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