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N의 TCP방식 문제점
W.S.N2016. 2. 12. 18:26
1. 연결설정 및 End-to-End 확인 응답
•TCP의 연결설정은 짧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W.S.N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TCP 프로토콜은 데이터 송수신 이전에 연결 설정과 연결 해제 과정을 거쳐야 한다.
•End-to-end 확인응답과 재전송은 W.S.N에 적합하지 않다.
•W.S.N의 경우 멀티 홉으로 설계되어있기 때문에 혼잡을 완화하거나 손실을 감지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패킷 손실이 있을 때 소스로 부터의 재전송은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패킷 손실율이 높은 W.S.N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2. Congestion Control
•W.S.N의 높은 패킷 에러율로 인해 TCP를 사용하면 패킷 손실을 Congestion으로 오인하여 송신측의 송신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실제 Congestion과 패킷 손실을 구분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송신측의 송신율을 유지시켜야 한다.
3. Flow Control
•TCP의 흐름제어는 윈도우 크기로 조절된다. 윈도우 크기는 목적지의 버퍼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한다.
•센서 노드들의 목적지인 싱크는 현재남아 있는 버퍼사이즈를 각 센서노드에게 전송한다.
•싱크와 가까운 센서노드는 전송된 윈도우 사이즈에 맞추어 즉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잇지만 멀리 있는 센서노드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전송 순서를 계속 놓칠 수 있다.
4. Header Overhead
•TCP/IP 프로토콜은 작은 패킷에도 긴 오버헤드를 가진다. 센서네트워크의 작은 데이터 패킷을 위해 95%이상의 오버헤드가 붙는 것이다. 센서네트워크는 에너지 보전이 중요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송이나 과도한 패킷 헤더는 피해야 한다.
5. Limited Nodes
•센서노드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사이즈와 처리 파워가 제한적이다.
•센서네트워크를 위한 알고리즘은 위의 제한 사항을 고려해야만 한다.
'W.S.N'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N의 신뢰성 전송기법(3)-ESRT (0) | 2016.02.12 |
---|---|
W.S.N의 신뢰성 전송기법(2)-RMST (0) | 2016.02.12 |
W.S.N의 신뢰성 전송기법(1)-PSFQ (0) | 2016.02.12 |
DTC, TSS 프로토콜 (0) | 2016.02.12 |
W.S.N(Wireless Sensor Network)와 Internet 연결 (0) | 2016.02.12 |